-
Ubuntu22.04 Users공부하기/리눅스 2024. 3. 10. 17:17
https://ubuntu.com/server/docs/security-users
-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root유저 비활성화가 디폴트
- 루트 계정이 존재하지 않거나 엑세스 할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고 직접 로그인할 수 없는게 디폴트
- 대신 sudo 명령을 사용해서 일시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얻을 수 있다
- 기본적으로 os를 설치할 때 생성된 초기 유저는 sudo 권한을 갖는 그룹으로 분류된다
특정한 이유 때문에 root 계정을 활성화 해야하는 경우
sudo passwd
위 명령을 실행하면 root 계정의 새 비밀번호를 설정해야한다.
[sudo] password for username: (enter your own password) Enter new UNIX password: (enter a new password for root) Retype new UNIX password: (repeat new password for root) passwd: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
루트 계정 비활성화
sudo passwd -l root
root 유저의 비밀번호를 잠궈 root 유저로 로그인할 수 없도록 만든다.
- l : lock을 의미
사용자 추가 및 삭제
sudo adduser username sudo deluser username
-> Ubuntu 및 기타 Debian 기반 배포판에서는 계정 관리를 위해 'adduser' 패키지 사용을 권장
-> Full Name 말고는 전부 Enter를 눌러서 건너 뛰었습니다.
-> id: test-user, password: test-user로 계정을 생성했습니다.
-> id: test-user2, password: test-user2 계정을 하나 더 생성했습니다.
-> root 유저를 제외하고 lsm, test-user, test-user2 3개의 계정이 존재
test-user로 로그인한 후 /home 디렉토리의 다른 유저의 디렉토리를 볼 수 있는지 체크
-> test-user로 로그인한 후 다른 유저의 디렉토리에 접근할 시 권한이 없어 접근할 수 없음
-> test-user로 로그인한 후 sudo 명령을 사용해본 결과 sudo 명령을 사용할 수 없음
-> sudo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유저라도 다른 유저의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없는것을 확인
-> test-user2 계정을 삭제했지만 /home 디렉토리에는 삭제된 유저의 디렉토리가 그대로 존재하는것을 확인
-> 디렉토리를 삭제하려 하니 권한이 없어 거절당함.
-> sudo 명령을 사용해서 삭제하니 삭제됨
유저 락 / 언락
sudo passwd -l username sudo passwd -u username
-> test-user를 잠군 후 로그인 시도하면 실패함
-> 잠군 해제 후 다시 로그인하니 정상적으로 로그인된다.
그룹 추가 및 삭제
sudo addgroup groupname sudo delgroup groupname
그룹에 유저 추가 명령
sudo adduser username groupname
유저의 그룹에 test-group이 포함된 것을 확인
유저가 존재하는 그룹을 삭제하면 어떻게 될까?
-> 유저의 그룹 목록에 삭제된 그룹 목록이 제외되고 그룹도 삭제된다.
'공부하기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22.04 LTS UFW 기본 (0) 2024.03.10 Ubuntu22.04 LTS OpenSSH Install (0) 2024.03.10 Mac M1 UTM Ubuntu22.04.04 LTS 설치 (0) 2024.03.10 mac m1 virtualbox download 방법 (0) 2024.03.08 우분투 16.04 & 가비아 도메인 & nginx https 적용하기 (0) 2021.08.22 -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root유저 비활성화가 디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