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elasticsearch 8.4.2 이론 및 실습공부하기/엘라스틱서치 2024. 2. 12. 16:56
키바나 접속
문서 색인
-> 엘라스틱서치에 문서를 색인하려면 문서를 색인할 인덱스 이름, _id, 값을 지정하고 문서의 내용을 요청 본문에 담아서 REST API를 호출합니다.
- _id를 지정하여 색인
문법
PUT 인덱스이름/_doc/_id값 { ... }
-> 실습: PUT local_test_index/_doc/1
- _id를 지정하지 않고 색인
문법
POST 인덱스이름/_doc { ... }
-> 실습 : POST local_test_index/_doc
문서 조회
-> 문서 조회는 인덱스의 이름과 _id값을 지정하여 GET 메서드로 호출하여 확인합니다.
문법
GET 인덱스이름/_doc/_id값
-> 실습 : GET local_test_index/_doc/1
문서 업데이트
-> 문서를 업데이트할 때 인덱스 이름과 _id값을 지정합니다.
문법
POST 인덱스이름/_update/_id값 { "doc": { ... } }
-> 실습 : POST local_test_index/_update/1
문서 검색
-> 엘라스틱서치는 다양한 검색 쿼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용 쿼리 DSL를 제공합니다.
문법
GET 인덱스이름/_search POST 인덱스이름/_search
실습 ( match 쿼리 사용 )
-> title값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은 문서도 확인된다.
->텍스트와 매칭되는 문서를 찾는 것이 아니라 문서를 분석한 후 역색인을 만들고 검색어를 분석해서 둘 사이의 유사도가 높은 문서를 찾는다.
-> score 점수를 통해 얼마나 유사한지 알 수 있다.
문서 삭제
-> 인덱스이름과 _id값을 지정하여 DELETE 메서드를 호출한다.
문법
DELETE 인덱스이름/_doc/_id값
-> 실습 : DELETE local_test_index/_doc/1
'공부하기 > 엘라스틱서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라스틱서치 text, keyword 타입 (2) 2024.02.12 엘라스틱 서치와 루씬 요약 (2) 2024.02.12 mac m1 키바나 8.4.2 설치 (0) 2024.02.12 mac m1 엘라스틱서치 설치 및 실행 (0) 2024.02.12 엘라스틱서치 사전 지식 (0) 2024.02.11